명나라와 청나라 관직 품계와 녹봉

h h

내각: 황제의 비서기관. 내각은 황제의 명령을 받아 각 주요 통치기관 (오호도독부, 육부, 도찰원) 사이의 알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현대의 대통령 비서실과 비슷한 기관.

정 5품: 대학사(大學士): 내각의 수장. 원래는 황제의 고문관에 불과했으나, 제도상으로 재상이 없었던 명나라에서 점차 수상의 임무를 맡게 됐다. 주요임무는 황제의 보좌와 주요행정기관간의 알력을 조정하는 것이었다.

종 7품: 중서사인(中書舍人): 대학사의 비서. 황제의 명령을 포고하는 제칙방(制勅房)과 황제에게 올라오는 문서를 관리하는 고칙방(誥勅房)에서 근무했다.

 

육부(六部): 명나라의 최고 실무 행정기관. 조선과 마찬가지로 이, 호, 예, 병, 형, 공의 육부가 있었음

정 2품: 상서 (尙書): 육부의 장관. 조선시대의 판서와 비슷함.

정 3품: 좌(左), 우(右) 시랑(侍郞): 육부의 부 수장. 조선시대의 참판과 비슷함.

정 5품: 각사난중(各司郞中): 육부 아래의 경력사 (經歷司, 육부 아래의 실무를 담당한 부서. 한 부에는 각기 4~13개의 경력사가 존재했음.) 의 수장

종 5품: 각사외랑(各司外郞): 각사난중을 보좌하는 관료.

정 6품: 주사 (主事): 실무 담당자

종 9품: 사무 (司務): 6부 내의 각종 사무업무를 담당하는 사무청(司務廳)의 하급관리

종 8품: 조마: 기록을 담당하는 조마청의 1급 서기

정 9품: 검매(檢枚): 조마청의 2급 서기

무급: 리 (理): 육부의 잡무를 담당하는 하급 실무자. 육부에는 각기 47~183명의 리가 근무했다.

 

도찰원 (都察院): 명나라 중앙정부의 감찰기관. 또한 관리의 임무수행능력을 평가하기도 했다.

정 2품: 좌(左), 우(右) 도어사(都御司): 도찰원의 장관

정 3품: 좌(左), 우(右) 부도어사(副都御史): 도어사의 부 수장.

정 4품: 좌(左), 우(右) 첨도어사(僉都御史): 도찰원의 보좌관

종 6품: 경력 (經歷): 도찰원의 기록을 담당한 관리.

정 7품: 감찰어사(監察御史): 도찰원에서 실제로 감찰을 수행한 관리로 각기 관할구역의 감찰을 통괄했다. 감찰어사는 주로 지방의 성(省)을 맡아서 감찰을 수행했다. 도찰원에는 총 110명의 감찰어사가 존재했다. 조선시대의 암행어사와 비슷한 존재로 이들은 감찰결과를 직접 황제에게 보고했다.

종 7품: 조마(照磨): 도찰원의 서기

 

국자감(國子監): 정부에서 운영하는 교육기관을 총괄한 기관.

종 4품: 제주(祭州): 국자감의 총장

정 6품: 사업(司業): 학문연구를 총괄한 관리.

종 8품: 오경박사(五經博士): 경전을 연구한 학자.

종 8품: 조교(助敎): 국자감의 교수. 국자감에는 총 32명의 조교가 있었다.

정 8품: 학정(學正): 2급 강사.

종 9품: 학록(學錄): 3급 강사.

 

과(科): 6부의 감찰을 맡은 하급 감찰 기관. 과는 이과, 호과, 형과, 예과, 병과, 공과, 의 6개 부서로 나뉘어 각기 맡은 부의 문서를 검토했다. 과에서는 또한 각 부의 정책을 거부할 권한이 있었다. (정당한 이유가 있다면.) 과의 관리들은 품계 상으로는 하급관리였으나, 황제에게 직접 보고하는 특권을 인정받아 실제적으로는 권한이 컸다.

정 7품: 도급사중(都給事中): 과의 수장.

종 7품: 급사중(給事中): 도급사중을 도와 각 부의 감찰을 진행한 관리.

대리사(大理寺): 이미 판결이 난 사건을 재검토하는 기관. 판관이 판결을 내린 사건을 다시 하급관청으로 내려 보내거나, 상급관청으로 보내 재판결을 명령하기도 했다. 사형판결을 받은 사람은 황제에게 직접 판결을 요구했다.

정 3품: 경(卿): 대리사의 수장

 

한림원(翰林院): 황제의 칙령을 다듬거나, 역사편찬, 기밀문서 등 각종 학문에 관련된 임무를 담당한 엘리트 집단. 한림원은 과거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인재들만이 들어갈 수 있었다. 특히 한림원에서는 명나라의 실질적인 재상인 내각대학사를 배출했다.

정 5품: 학사(學士): 한림원의 수장.

종 5품: 시독학사(侍讀學士)

종 5품: 시강학사(侍講學士)

정 6품: 시독(侍讀)

정 6품: 시강(侍講)

종 6품: 수찬(修撰)

정 7품: 편수(編修)

종 7품: 검토(檢討)

 

통정사(通政司): 문서를 전달하는 중앙부서. 황제에게 올리는 상소나, 황제가 발표하는 칙령 등을 총괄했다.

정 3품: 통정사(通政使): 통정사의 장관

정 4품: 좌(左), 우(右) 통정(通政): 통정사 바로 아래의 직위.

정 5품: 좌(左), 우(右) 참의(參議): 통정 바로 아래의 직위.

종 6품: 경력(經歷): 통정사 내의 기록을 담당.

종 8품: 지사(知事): 통정사의 하급 사무원.

 

오호도독부:명나라 최고의 군정기관으로, 중, 전, 후, 좌, 우의 도독부가 각기 3~4 개 정도의 성을 관할했음. 도독부의 사령관인 도독(정 1품), 도독동지(종 1품), 도독첨사(종 2품) 은 공(公), 후(侯), 백(伯) 등의 귀족이 맡는 것이 관례였다.

정 1품: 좌(左), 우(右) 도독(都督): 명나라 군직 중 최고의 직위. 한 개의 도독부를 총지휘하는 중앙의 사령관

종 1품: 도독동지(都督同知): 좌, 우 도독 밑에 각기 1 명씩 있는 도독부의 부사령관

종 2품: 도독첨사(都督僉事): 도독부의 주요 부서를 관장. 약간명이 존재

종 5품: 경력사(經歷司), 경력(經歷): 도독첨사 아래서 실무를 관장. 각 1명

종 7품: 도사(都司): 도독첨사 밑에서 실무를 관리 각 1명

1. 명나라 지방 관제

명나라의 지방 행정단위는 기본적으로 성 > 부 > 주 > 현 으로 구분되 있습니다. 명나라는 총 13개의 성(산동, 산서, 하남, 섬서, 사천, 호광, 강서, 절강, 복건, 광동, 광서, 운남) 으로 나눠져 있고, 각 성 아래에는 부가 부 아래에는 주, 가장 작은 행정단위로 현이 있습니다.

일단 가장 큰 행정단위인 성은 성 하나가 왠만한 소국만한 크기입니다. 성의 통치기구는 크게 일반민들을 지배하는 행정기관인 승선포정사사, 한 개 성의 군사를 통괄하는 도지휘사사, 감찰 및 사법을 담당하는 일종의 사법기관인 제형안찰사사 라는 기관이 있습니다. 이 세 기관은 서로 독립적인 기관으로 한 기관이 딴 기관에 대한 명령권이 없었습니다.

그러면, 성에 있는 각 기관의 관직명을 보자면,

승선포정사사: 한 성의 통치를 담당하는 기관. 그러나 사법이나 군사에 관한 권한은 없없음.

포정사 (종 2품): 조선시대의 관찰사와 비슷한 직위. 승선포정사사의 수장.

참정 (종 3품)

참의 (종 4품)

제형안찰사사: 1개 성의 형, 옥을 총괄하는 사법기관

안찰사 (정 3품): 제형안찰사사의 수장. 일종의 대법관 같은 직위

부사 (정 4품)

첨사 (정 5품)

도지휘사사: 평시에 한 개 성의 군정을 총괄하고, 한 개 성의 방어를 총괄한 기관.

도지휘사 (정 2품): 한 개 성의 최고 사령관. 조선시대의 병마절도사와 비슷한 직위.

도지휘동지 (종 2품): 도지휘사를 보좌하는 일종의 부사령관

도지휘첨사 (정 3품): 도지휘사 아래서 각 부서를 지휘한 수장.

그리고 승선포정사사 아래에는 각기 부 > 주 > 현의 행정단위가 있었습니다. 각 행정단위의 관직명 및 품계는

 

부: 몇 개의 주가 모여 만든 행정단위. 대략 우리나라의 도/ 군 이랑 비슷한 단위. 부는 그 크기에 따라서 상, 중, 하의 3등급으로 나눔.

지부 (정 4품) :

동지 (정 5품)

통판 (정 6품)

추관 (정 7품)

 

주: 주 아래의 행정단위. 주는 부에 속한 속주와 포정사사에 속한 직예주로 나눴다.

지주 (종 5품)

동지 (종 6품)

판관 (종 7품)

이목 (종 9품)

 

현: 가장 하급의 행정단위. 원래는 약 1만호 안밖의 인구를 묶어 현으로 편성했다. 그 규모에 따라 상, 중, 하의 세 등급으로 나눔.

지현 (정 7품): 조선시대 현감, 현령 과 비슷한 직위.

현승 (정 8품)

주부 (정 9품)

전사 (무급)

 

***************************************************************************

정1품은 태사(太師)ㆍ태부(太傅)ㆍ태보(太保), 종인부(宗人府) 종령(宗令)ㆍ종정(宗正)ㆍ종인(宗人), 좌ㆍ우 도독(都督)이다.

품계는 처음에는 특진영록대부(特進榮祿大夫)를 제수하고 광록대부(光祿大夫)에 승품(陞品)한다.

훈(勳)은 문관은 좌주국(左柱國)이라 하고 무관은 우주국(右柱國)이라 한다.

녹봉(祿俸)은 87섬이다.

 

종1품은 삼사(三師)인 태자태사(太子太師)ㆍ태자태부ㆍ태자태보, 도독동지(都督同知)이다. 품계는 위와 같으며, 훈은 주국(柱國)이라 한다.

녹봉은 74섬이다.

 

정2품은 태자 삼소(太子三少), 상서(尙書), 도어사(都御史), 도독첨사(都督僉事), 정유수(正留守), 도지휘사(都指揮使), 연성공(衍聖公)이다. 품계는 문관은 처음에 자정대부(資政大夫)를 제수하고 자덕대부(資德大夫)를 가자(加資)하고, 무관은 처음에는 표기장군(驃騎將軍)을 제수하고 금오장군(金吾將軍)을 승품하며 용호장군(龍虎將軍)을 가자한다.

훈은 문관은 정치상경(正治上卿)이라 하고, 무관은 상호군(上護軍)이라 한다.

녹봉은 61섬이다.

 

종2품은 포정사(布政使), 도지휘동지(都指揮同知)이다. 품계는 문관은 처음엔 중봉대부(中奉大夫)를 제수하고 통봉대부(通奉大夫)를 승품하며 정봉대부(正奉大夫)를 가자하고, 무관은 처음에 진국장군(鎭國將軍)을 제수하고 정국장군(定國將軍)을 승품하며 봉국장군(奉國將軍)을 가자한다.

훈은 문관은 정치경(正治卿)이라 하고, 무관은 호군(護軍)이라 한다.

녹봉은 48섬이다.

 

정3품은 태자빈객(太子賓客), 시랑(侍郞), 부도어사(副都御史), 통정사(通政使), 대리시 경(大理寺卿), 태상시 경(太常寺卿), 첨사(詹事), 부윤(府尹), 안찰사(按察使), 부유수(副留守), 도지휘첨사(都指揮僉事), 지휘사(指揮使)이다.

품계는 문관은 처음엔 가의대부(嘉議大夫)를 제수하고 통의대부(通議大夫)를 승품하며 정의대부(正議大夫)를 가자하고,

무관은 처음엔 소용장군(昭勇將軍)을 제수하고 소의장군(昭毅將軍)을 승품하며 소무장군(昭武將軍)을 가자한다. 훈은 문관은 자치윤(資治尹)이라 하고, 무관은 상경차도위(上輕車都尉)라 한다.

녹봉은 35섬이다.

 

종3품은 광록시(光祿寺)ㆍ태복시(太僕寺)ㆍ원마시(苑馬寺)의 경(卿), 참정(參政), 운사(運使), 유수지휘동지(留守指揮同知), 위지휘동지(衛指揮同知), 선위사(宣慰使)이다.

품계는 문관은 처음엔 아중대부(亞中大夫)를 제수하고 중대부(中大夫)를 승품하며 태중대부(太中大夫)를 가자하고,

무관은 처음엔 회원장군(懷遠將軍)을 제수하고 정원장군(定遠將軍)을 승품하며 안원장군(安遠將軍)을 가자한다. 훈은 문관은 자치소윤(資治少尹)이라 하고, 무관은 경기도위(輕騎都尉)라 한다.

녹봉은 26섬이다.

 

정4품은 첨도어사(僉都御史), 통정(通政), 대리시ㆍ태상시ㆍ태복시ㆍ원마시의 소경(少卿)과 소첨(少詹), 홍려시(鴻臚寺)의 경, 경부 승(京府丞), 부사(副使), 지부(知府), 위지휘첨사(衛指揮僉事), 선위동지(宣慰同知)이다. 품계는 문관은 처음엔 중순대부(中順大夫)를 제수하고 중헌대부(中憲大夫)를 승품하며 중의대부(中議大夫)를 가자하고,

무관은 처음엔 명위장군(明威將軍)을 제수하고 선위장군(宣威將軍)을 승품하며 광위장군(廣威將軍)을 가자한다. 훈은 문관은 찬치윤(贊治尹)이라 하고, 무관은 상기도위(上騎都尉)라 한다.

녹봉은 24섬이다.

 

종4품은 좨주(祭酒), 참의(參議), 운사(運司), 선위부사(宣慰副使), 선무사(宣撫使)이다.

품계는 문관은 처음엔 조열대부(朝列大夫)를 제수하고 조의대부(朝議大夫)를 승품하며 조청대부(朝請大夫)를 가자하고,

무관은 처음엔 선무장군(宣武將軍)을 제수하고 현무장군(顯武將軍)을 승품하며 신무장군(信武將軍)을 가자한다. 훈은 문관은 찬치소윤(贊治少尹)이라 하고, 무관은 중기도위(中騎都慰)라 한다.

녹봉은 20섬이다.

 

정5품은 화개(華蓋)ㆍ근신(謹身)ㆍ무영(武英) 삼전(三殿)과 문연(文淵)ㆍ동각(東閣)ㆍ춘방(春坊)의 태학사(太學士) 및 한림원 학사(翰林院學士), 서자(庶子), 통정참의(通政參議), 대리시 승(大理寺丞), 상보사 경(常寶司卿), 광록시 소경(光祿寺少卿), 낭중(郞中), 흠천감(欽天監)ㆍ상림원감(上林苑監)의 정(正), 태의 원사(太醫院使), 치평종인(治平宗人), 경력(經歷), 안찰(按察), 첨사(僉事), 부동지(府同知), 장사(長史), 의위정(儀衛正), 정천호(正千戶), 선위 첨사(宣慰僉事), 선무사 동지(宣撫司同知)이다.

품계는 문관은 처음엔 봉의대부(奉議大夫)를 제수하고 봉정대부(奉政大夫)를 승품하며,

무관은 처음엔 무덕장군(武德將軍)을 제수하고 무절장군(武節將軍)을 승품한다. 훈은 문관은 수정서윤(修正庶尹)이라 하고, 무관은 효기위(驍騎尉)라 한다.

녹봉은 16섬이다.

 

종5품은 시독학사(侍讀學士), 시강학사(侍講學士), 유덕(諭德), 세마(洗馬), 상보사 소경(尙寶司少卿), 홍려시 소경(鴻臚寺少卿), 원외랑(員外郞), 오부 경력(五府經歷), 지주(知州), 운부정(運副正), 제거(提擧), 경부판(京府判), 위소진무(衛所鎭撫), 부천호(副千戶), 의위부(儀衛副), 초토사(招討使), 선무 부사(宣撫副使), 안무사(安撫使)이다.

품계는 문관은 처음엔 봉훈대부(奉訓大夫)를 제수하고 봉직대부(奉直大夫)를 승품하며,

무관은 처음엔 무략장군(武略將軍)을 제수하고 무의장군(武毅將軍)을 승품한다.

훈은 문관은 협정서윤(協正庶尹)이라 하고, 무관은 비기위(飛騎尉)라 한다.

녹봉은 14섬이다.

 

정6품은 대리시 정(大理寺正), 첨사 승(詹事丞), 중윤(中允), 시강(侍講), 시독(侍讀), 사업(司業), 태상시ㆍ태복시의 승(丞), 상보사 승(尙寶司丞), 도찰원(都察院)ㆍ유수사(留守司)ㆍ도사(都司)의 경력(經歷), 경지현 통판(京知縣通判), 상림원감ㆍ흠천감의 감부(監副), 오관(五官)의 정(正), 태의원 판(太醫院判), 병마지휘단사(兵馬指揮斷事), 백호(百戶), 전장(典仗), 심리 정(審理正), 신악관제점(神樂觀提點), 장관(長官), 부초토(副招討), 선무 첨사(宣撫僉事)이다.

품계는 문관은 처음엔 승직랑(承直郞)을 제수하고 승덕랑(承德郞)을 승품하며,

무관은 처음엔 소신교위(昭信校尉)를 제수하고 승신교위(承信校尉)에 승품한다.

녹봉은 10섬이다.

 

종6품은 찬선(贊善), 사직랑(司直郞), 수찬(修撰), 광록시 승(光祿寺丞), 홍려시 승(鴻臚寺丞), 대리시 시부(大理寺寺副), 서정(署正), 경부 추관(京府推官), 포정사 경력(布政司經歷), 정이문(正理問), 운판(運判), 주동지(州同知), 정제거(正提擧), 안무부사(安撫副使), 장관사 부장관(長官司副長官)이다.

품계는 문유(文儒)는 처음엔 승무랑(承務郞)을 제수하고 유림랑(儒林郞)을 승품하며, 아전을 선덕랑(宣德郞)이라 한다.

무관은 처음엔 충현교위(忠顯校尉)를 제수하고 승신교위(承信校尉)를 승품한다.

녹봉은 8섬이다.

 

정7품은 도급사중(都給事中), 감찰어사(監察御史), 편수(編修), 대리시 평사(大理寺評事), 행인사 정(行人司正), 오부 도찰원(五府都察院)ㆍ유수사(留守司)ㆍ도사(都司)의 도사(都事), 통정사(通政司)ㆍ안찰사(按察司)의 경력(經歷), 태상시 박사(太常寺博士), 전부(典簿), 병마부(兵馬副), 영선 정(營膳正), 경현 승(京縣丞), 부 추관(府推官), 지현(知縣), 부단사(副斷事), 심리 부(審理副), 안무첨사(安撫僉事), 만이 장관(蠻夷長官)이다.

품계는 문유는 처음엔 승사랑(承事郞)을 제수하고 문림랑(文林郞)을 승품하며 아전은 선의랑(宣義郞)이라 한다. 무관은 처음엔 충정교위(忠靖校尉)를 제수하고 충용교위(忠勇校尉)를 승품한다.

녹봉은 7섬 5말이다.

 

종7품은 검토(檢討), 급사중(給事中), 중서사인(中書舍人), 행인사부(行人司副), 광록시의 전부(典簿)ㆍ서승(署丞)ㆍ첨사(詹事), 태복시 주부(太僕寺主簿), 경부 경력(京府經歷), 영대랑(靈臺郞), 사제서 봉사(祠祭署奉祀), 주판관(州判官), 부제거(副提擧), 포정사 도사(布政司都事), 부이문(副理問), 위운사(衛運司)ㆍ선위사(宣慰司)의 경력(經歷), 만이 부장관(蠻夷副長官)이다.

품계는 문관은 처음엔 종사랑(從仕郞)을 제수하고 징사랑(徵仕郞)을 승품하며,

무관은 처음엔 돈무교위(敦武校尉)를 제수하고 수무교위(修武校尉)를 승품한다.

녹봉은 7섬이다.

 

정8품은 국자감 승(國子監丞), 오경박사(五經博士), 행인사(行人司)ㆍ부원사(部院司)의 조마(照磨), 통정사(通政司)의 위(衛), 안찰사(按察司)ㆍ운사(運司)의 지사(知事), 경현(京縣) 흠천감(欽天監)의 주부(主簿), 보장정(保章正), 어의(御醫), 협률랑(協律郞), 영선 부(營膳副), 왕부(王府)의 전선(典膳)ㆍ봉사(奉祀) 등소(等所)의 정(正), 부경력(府經歷), 현승(縣丞)이다.

품계는 처음엔 적공랑(迪功郞)을 제수하고 수직랑(修職郞)을 승품한다.

녹봉은 6섬 6말이다.

 

종8품은 한림 전적(翰林典籍), 국자감의 조교(助敎)ㆍ전부(典簿)ㆍ박사(博士), 광록시의 녹사(錄事)ㆍ감사(監事), 홍려시 주부(鴻臚寺主簿), 경부(京府)의 운사(運事)ㆍ지사(知事), 설호정(挈壺正), 사제서 사승(祠祭署祀丞), 포정사 조마(布政司照磨), 왕부(王府)의 전선(典膳)ㆍ봉사(奉祀) 등소의 부(副), 선무 경력(宣撫經歷), 지관(知觀)이다.

품계는 처음엔 적공랑(迪功郞)을 제수하고 수직좌랑(修職佐郞)을 승품한다.

녹봉은 6섬이다.

 

정9품은 교서(校書), 시서(侍書), 국자 학정(國子學正), 부원사 검교(部院司檢校), 홍려 서승(鴻臚署丞), 상림 전서(上林典署), 감후(監候), 사력(司歷), 영선 승(營繕丞), 각관국 대사(各館局大使), 경부 조마(京府照磨), 찬례랑(贊禮郞), 봉란부(奉鑾府)와 선위사ㆍ안무사의 지사(知事), 현 주부(縣主簿)이다.

품계는 처음엔 장사랑(將仕郞)을 제수하고 등사랑(登仕郞)을 승품한다.

녹봉은 5섬 5말이다.

 

종9품은 대조첨사(待詔詹事) 상림 녹사(上林錄事), 사간(司諫), 통사(通事), 사인(舍人), 정자(正字), 사무(司務), 국자감의 학록(學錄)ㆍ전적(典籍), 명찬(鳴贊), 서반(序班), 소무(韶舞), 사악(司樂), 사농(司農), 누각박사(漏刻博士), 경부 검교(京府檢校), 경현 전사(京縣典史) 원사(院司)ㆍ위(衛)ㆍ주(州)ㆍ소(所)의 각 이목(吏目), 내외 교수(內外敎授), 부 조마(府照磨), 사옥(司獄), 순검(巡檢), 역승(驛丞), 각 대사(大使)와 부사(副使), 승도(僧道), 음양 잡직(陰陽雜職)이다.

품계는 처음엔 장사좌랑(將仕佐郞)을 제수하고 등사좌랑(登仕佐郞)을 승품한다.

녹봉은 5섬이다.

 

청(淸)나라의 문관 품계

 

정1품은 태사ㆍ태부ㆍ태보ㆍ대학사(大學士)이다

종1품은 소사(少師)ㆍ소부(少傅)ㆍ소보(少保), 태자의 태사ㆍ태부ㆍ태보, 각 부(部) 및 원(院)의 상서(尙書), 도찰원(都察院)의 좌우 도어사(左右都御史)이다.

품계는 광영록대부(光榮祿大夫)이다.

녹봉은 은 180냥(兩)과 쌀 180곡(斛)이다.

 

정2품은 태자의 소사ㆍ소부ㆍ소보, 각성(各省)의 총독(摠督), 부(部) 및 원(院)의 좌우 시랑(侍郞)으로서, 자정대부(資政大夫)이다. 종2품은 내각학사(內閣學士), 한림원 장원학사(翰林院掌院學士), 각성(各省) 순무(巡撫), 포정사(布政使)이다.

품계는 통봉대부(通奉大夫)이다.

녹봉은 은 150냥과 쌀 150곡이다.

 

정3품은 도찰원의 좌우 부도어사(副都御史), 종인부 부승(宗人府府丞), 통정사(通政使), 대리시 경(大理寺卿), 첨사(詹事), 태상시 경(太常寺卿), 순천부(順天府)ㆍ봉천부(奉天府)의 부윤(府尹), 안찰사(按察使)인데, 통의대부(通議大夫)이다.

 

종3품은 광록시 경(光祿寺卿), 태복시 경(太僕寺卿), 염운사(鹽運使)로서,중의대부(中議大夫)이다.

녹봉은 은 130냥에 쌀 130곡이다.

 

정4품은 통정사 부사(通政司副使), 대리시 소경(大理寺少卿), 소첨사(少詹事), 태상시 소경(太常寺少卿), 회동사역 소경(會同四譯少卿), 태복시 소경(太僕寺少卿), 홍려시 경(鴻臚寺卿), 순천부ㆍ봉천부의 부승(府丞), 각성(各省)의 수순도(守巡道)로서, 중헌대부(中憲大夫)이다.

 

종4품은 국자감 좨주(國子監祭酒), 내각 시독학사(內閣侍讀學士), 한림원의 시독학사와 시강학사(侍講學士), 도전염운사사동지(都轉鹽運使司同知), 각부(各府)의 지부(知府)로서 조의대부(朝議大夫)이다.

녹봉은 은 105냥에 쌀 105곡이다.

 

정5품은 좌우 춘방서자(春坊庶子), 종인부 이사관(宗人府理事官), 통정사 참의(通政司參議), 광록시 소경(光祿寺少卿), 육과 장인 급사중(六科掌印給事中), 급사중(給事中), 각 부(部)ㆍ원(院)의 낭중(郞中), 순천부와 봉천부의 치중(治中), 흠천감 정(欽天監正), 태의 원사(太醫院使), 각부(各府)의 동지(同知), 각 직례주 지주(直隷州知州)로서, 봉정대부(奉政大夫)이다.

 

종5품은 한림원 시독ㆍ시강, 사경국 세마(司經局洗馬), 종인부 부이사관(宗人府副理事官), 홍려시 소경, 각도(各道) 감찰어사(監察御史), 각 부(部)ㆍ원의 원외랑(員外郞), 각주(各州)의 지주(知州), 염운사 운부(鹽運使運副), 염과사 제거(鹽課司提擧)로서, 봉직대부(奉直大夫)이다.

녹봉은 은 80냥과 쌀 80곡이다.

 

정6품은 내각 시독(內閣侍讀), 좌우 춘방 중윤(左右春坊中允), 국자감 사업(國子監司業), 각 부(部)ㆍ원(院)의 주사(主事), 대리시ㆍ종인부의 경력(經歷), 도찰원의 경력(經歷)ㆍ도사(都事), 이번원 주사(理藩院主事), 대리시의 좌승과 우승, 태상시 승, 태의원 판(太醫院判), 흠천감 부(欽天監副), 오관 정(五官正), 경부 통판(京府通判), 병마사 지휘(兵馬使指揮), 경현지현(京縣知縣), 신악관제점(神樂觀提點), 각부(各部)의 통판(通判), 성묘관구청 재주관(聖廟管句廳齋奏官)으로서, 승덕랑(承德郞)이다.

 

종6품은 좌우 춘방 찬선(左右春坊贊善), 한림원 수찬, 광록시 서정(光祿寺署正), 만오관정(滿五官正), 포정사(布政司)의 경력(經歷)과 이문(理問), 염운사 운판(鹽運司運判), 직례주 주동(直隷州州同), 주동(州同), 승록사 천교(僧錄司闡敎), 도록사 연법(道錄司演法)으로서, 유림랑(儒林郞)이다.

녹봉은 은 60냥과 쌀 60곡이다.

 

정7품은 한림원 편수, 대리시 평사(大理寺評事), 태상시의 박사(博士)와 전부(典簿), 국자감 승, 내각 전적(內閣典籍), 통정사 경력(通政司經歷), 각 부(部)ㆍ원(院)ㆍ시(寺)의 사고(司庫), 각 부ㆍ원의 칠품필첩식(七品筆帖式), 태복시 주부, 경부 교수(京府敎授), 사씨학 교수(四氏學敎授), 병마사 부지휘(兵馬司副指揮), 경현 현승(京縣縣丞), 칠품 조선통사(七品朝鮮通事), 태의원 어의(御醫), 통정사 지사, 안찰사 경력, 각현 지현, 각부(各府) 유학 교수(儒學敎授), 성묘(聖廟)의 계사(啓事)ㆍ반관(伴官)ㆍ사악(司樂)ㆍ전적(典籍)ㆍ지인(知印)ㆍ서사(書寫)로서, 문림랑(文林郞)이다.

 

종7품은 한림원 검토(翰林院檢討), 중서과 중서(中書科中書), 내각 중서(內閣中書), 첨사(詹事), 부주부(府主簿), 광록시의 전부(典簿)ㆍ서승(署丞), 국자감의 박사 조교, 난의위 경력(鑾儀衛經歷), 태상시와 사제서(祀祭署)의 봉사(奉祀), 흠천감의 영대랑(靈臺郞), 포정사 도사, 직례주 주판(直隷州州判), 주판(州判), 염운사 경력, 순천부와 봉천부의 경력, 각 위(衛)의 경력(經歷)으로서, 징사랑(徵仕郞)이다.

녹봉은 은 45냥과 쌀 45곡이다.

 

정8품은 한림원 오경박사, 국자감의 학정(學正)과 학록(學錄), 이번원 지사(理藩院知事), 흠천감의 보장정(保章正)과 주부(主簿), 태상시 협률랑, 각 부(部)ㆍ원(院)의 팔품필첩식(八品筆帖式), 팔품 조선통사, 포정사 고대사(布政司庫大使), 안찰사 지사(按察司知事), 각 부(府)의 경력, 각현(各縣) 현승, 염과사 대사(鹽課司大使), 비험 대사(批驗大使), 운고 대사(運庫大使), 각주의 학정(學正), 각 현의 교유(敎諭), 각 부(部)ㆍ원의 사무(司務)로서, 수직랑(修職郞)이다.

 

종8품은 한림원 전부(翰林院典簿), 국자감 전부, 홍려시 주부, 흠천감 설호정(欽天監挈壺正), 태상시 사승(太常寺祀丞), 신악관 지관(神樂觀知觀), 포정사 조마(布政司照磨), 염운사 지사, 각 부(府)ㆍ주(州)ㆍ현(縣)의 유학(儒學)의 훈도(訓導), 승록사 각의(僧錄司覺義), 도록사 지의(道錄司至義)로서, 수직좌랑(修職佐郞)이다.

녹봉은 은 40냥과 쌀 40곡이다.

 

정9품은 예부와 태상시의 독축관(讀祝官)ㆍ찬례랑(贊禮郞), 회동관 대사(會同館大使), 흠천감의 오관감후(五官監候)와 오관사서(五官司書), 태의원의 이목(吏目), 안찰사 조마, 각 부(府)의 지사, 다마 대사(茶馬大使), 각 현 주부로서, 등사랑(登仕郞)이다.

 

종9품은 한림원 대조(翰林院待詔), 첨사부 녹사(詹事府錄事), 국자감 전적, 사역관(四譯館)의 정교(正敎)와 서반(序班), 홍려시의 서반(序班)과 명찬(鳴贊), 제조고 사장(製造庫司匠), 형부 사옥(刑部司獄), 태상시 사악(太常寺司樂), 흠천감의 박사(博士)와 오관(五官)의 사신(司晨), 안찰사의 검교(檢校), 사옥(司獄), 각 부(府)의 조마(照磨)ㆍ사옥(司獄), 창대사(倉大使), 세대사(稅大使), 도 고대사(道庫大使), 궁과사대사(宮課司大使), 도세사 대사(都稅司大使), 각 주의 이목(吏目)과 순검(巡檢), 토사부순검(土司副巡檢), 승망사 도망(僧網司都網), 도기사 도기(道紀司都紀), 부음양정술(府陰陽正術), 부의학정과(府醫學正科)로서, 등사좌랑(登仕佐郞)이다.

 

청나라의 무관 품계

 

정1품은 영시위내대신(領侍衛內大臣)으로서, 건위장군(建威將軍)이다.

 

종1품은 내대신(內大臣), 팔기만주몽고한군도통(八旗滿洲蒙古漢軍都統), 외성주방장군(外省駐防將軍), 오로목제도통(烏魯木濟都統), 찰합이도통(察哈爾都統), 열하도통(熱河都統), 제독(提督)으로서, 진위장군(振威將軍)이다.

 

정2품은 좌우익전봉통령(左右翼前鋒統領), 팔기호군통령(八旗護軍統領), 제독구문순포오영보군통령(提督九門巡捕五營步軍統領), 팔기만주몽고한군부도통(八旗滿洲蒙古漢軍副都統), 외성주방부도통, 난의사(鑾儀使), 총병(摠兵)으로서 무현장군(武顯將軍)이다.

 

종2품은 산질대신(散秩大臣), 부장(副將)으로서, 무공장군(武功將軍)이다.

 

정3품은 일등시위관군사(一等侍衛冠軍使), 화기영익장(火器營翼長), 건예영익장(健銳營翼長), 보군익장(步軍翼長), 포의호군통령(包衣護軍統領), 원명원총관(圓明園摠管), 조창영총(鳥槍營摠), 전봉참령(前鋒參領), 호군참령, 조창호군참령(鳥槍護軍參領), 효기참령(驍騎參領), 능침참령(陵寢參領), 원장총관(園場摠管), 흑룡강관강포수수총관(黑龍江管舡砲水手摠管), 찰합이총관, 성수위(城守尉), 왕부장사참장(王府長史參將), 무호도위(武護都尉)이다.

 

종3품은 원명원포의영총(圓明園包衣營摠), 포의호군참령(包衣護軍參領), 포의효기참령(包衣驍騎參領), 길림참령(吉林參領), 흑룡강참령, 찰합이참령, 주방협령(駐防協領), 일등호위유격(一等護衛遊擊)으로서, 무익도위(武翼都尉)이다.

 

정4품은 이등시위운휘사(二等侍衛雲揮使), 전봉시위(前鋒侍衛), 부호위참령(副護衛參領), 부조창호군참령(副鳥槍護軍參領), 부전봉참령, 부효기참령, 좌령(佐領), 보군협령(步軍協領), 신포총관(信礮摠管), 남원총관(南苑摠管), 능침부총관, 능침사공장(陵寢司工匠), 위장익장(圍場翼長), 상도달포손낙이달리강애운총관(上都達布遜諾爾達里崗愛雲摠管), 태복시마창타창총관(太僕寺馬廠駝廠摠管), 흑룡강길림등처회수수(黑龍江吉林等處會水手), 사품관방수위(四品官防守尉), 사의장(司儀長), 성묘백호도사(聖廟百戶都司), 임묘수위사(林廟守衛司)로서, 소무도위(昭武都尉)이다.

 

종4품은 성문령(城門領), 포의부호군참령, 포의부효기참령, 포의좌령, 사품전의(四品典儀), 이등호위(二等護衛), 찰합이부참령, 찰합이부좌령으로서, 선무도위(宣武都尉)이다.

 

정5품은 삼등시위(三等侍衛), 치의정(治儀正), 보군부장(步軍副將), 보군교감(步軍校監), 수신포관(守信砲官), 남원문장경(南苑門章京), 능침방어(陵寢防禦), 능침관리(陵寢管理), 소조전와관(燒造磚瓦官), 분관좌령(分管佐領), 개주(蓋州)ㆍ우장(牛莊) 두 곳과 만주의 장인방어(掌印防禦), 관구수어방어(關口守禦防禦), 흑룡강길림등처관수수(黑龍江吉林等處管水手), 오품관수비(五品官守備)로서 무덕기위(武德騎尉)이다.

 

종5품은 사등시위위서(四等侍衛委署), 전봉참령위서(前鋒參領委署), 호군참령위서, 조창호군참령위서, 전봉시위(前鋒侍衛), 오품전의(五品典儀), 삼등호위(三等護衛), 하오기(下五旗), 오품포의참령(五品包衣參領), 수어소 천총(守禦所千摠)으로서 무덕좌기위(武德佐騎尉)이다.

 

정6품은 남령시위(藍翎侍衛), 정의위(整儀尉), 친군교(親軍校), 전봉교(前鋒校), 조창호군요(鳥槍護軍橈), 효기교(驍騎校), 호군교(護軍校), 능침제사공응관(陵寢祭祀供應官), 태복시 마창타창익장(太僕寺馬廠駝廠翼長), 흑룡강길림등처관수수, 육품관영천총(六品官榮千摠), 문천총(門千摠)으로서, 무략기위(武畧騎尉)이다.

 

종6품은 육품전의, 내무부 대신(內務府大臣), 영장위서(翎長委署), 보군교위천총(步軍校衛千摠)으로서, 무략좌기위(武畧佐騎尉)이다.

 

정7품은 성문이궁장고산달(城門吏弓匠固山達), 성경유목정위(盛京遊牧正尉), 태복시 마창타창고산달(太僕寺馬廠駝廠固山達), 칠품음감생파총(七品蔭監生把摠)으로서, 무신기위(武信騎尉)이다.

 

종7품은 성경유목부위(盛京遊牧副尉), 칠품전의로서, 무신좌기위(武信佐騎尉)이다.

 

정8품은 성경래식목좌우익장(盛京萊息牧左右翼長), 팔품음감생(八品蔭監生), 외위천총(外委千摠)으로서, 분무교위(奮武校尉)이다. 종8품은 장의위서(將儀委署), 친군교위서(親軍校委署), 전봉교위서, 호군교위서, 효기교부호군교(驍騎校副護軍校)로서, 분무좌교위(奮武佐校尉)이다.

 

정9품은 각교위익장(各校尉翼長), 내위파총(內委把摠)으로서, 수무교위(修武校尉)이다.

 

종9품은 태복액외외위(太僕額外外委)로서, 수무좌교위(修武佐校尉)이다.

 

팔기(八旗)의 봉은(俸銀)

 

1품은 녹봉으로 은(銀) 81냥 6전, 땔감 비용으로 은 144냥, 소채(蔬菜)와 촉탄(燭炭) 비용으로 은 180냥, 인주와 종이 비용으로 은 200냥, 모두 합하여 606냥 2전이다.

2품은 합한 은이 511냥 5전 7푼 6리이다.

3품은 합한 은이 257냥 3전 4푼이다.

4품은 합한 은이 147냥 3전 9푼 4리이다.

5품은 합한 은이 90냥 7전 6리이다.

6품은 녹봉으로 은이 48냥이고,

7품은 녹봉으로 은이 36냥이다.

 

문무 품계의 구분

1품 문무관은 조모(朝帽) 위에 홍보석(紅寶石)을 붙이는데, 그 가운데에 문관은 강주(康珠)를 새겨 넣고, 무관은 동주(東珠)를 새겨 넣는다.

2품은 산호를 붙이는데, 그 가운데에 문관은 진홍보석을 새겨 넣고, 무관은 홍보석을 새겨 넣는다.

3품 문무관은 남보석(藍寶石)을 붙이는데, 그 가운데에 작은 홍보석을 새겨 넣는다.

4품 문무관은 청금석(靑金石)을 붙이는데, 그 가운데에 작은 남보석을 새겨 넣는다.

5품 문무관은 수정을 붙이는데, 그 가운데에 작은 남보석을 새겨 넣는다.

6품 문무관은 차거(硨磲)를 붙이는데, 그 가운데에 수정을 새겨 넣는다.

7품 문무관은 가운데에 작은 수정을 새겨 넣는다.

8품과 9품 문무관은 꽃 모양의 쇠를 이마에 장식할 뿐이다.

 

명부직(命婦職)

1품은 일품부인(一品夫人)이라고만 한다.

2품은 이품부인(二品夫人)이라고만 한다.

3품은 숙인(淑人)이고,

4품은 공인(恭人)이고,

5품은 의인(宜人)이고,

6품은 안인(安人)이고,

7품은 유인(孺人)이다. 이는 명나라의 제도와 같다.

 

각성(各省)

직례(直隷), 산서(山西), 섬서(陝西), 감숙(甘肅), 사천(四川), 운남(雲南), 귀주(貴州), 안휘(安徽), 절강(浙江), 강소(江蘇), 강서(江西), 복건(福建), 호북(湖北), 하남(河南), 호남(湖南), 산동(山東), 광서(廣西), 광동(廣東)이다.

 

참조자료 : 위키백과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