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귀족 호칭 자료

h h

1 남작(男爵).
주의 영국 귀족의 계급 – ()안은 부인: Duke공작(Duchess), Marquis후작(侯爵)(Marchioness), Earl백작(Countess), Viscount자작(子爵)(Viscountess), Baron남작(Baroness).
* Earl은 대륙의 Count에 해당하고, Viscount는 Earl의 장자에의 존칭으로도 쓰인다. 귀족에게는 칭호 이외에 Lord를 붙이는 수가 있는데, 특히 Baron은 외국 남작에게 쓰고, 영국 남작에는 Lord를 쓴다. 공식 석상에서 「…각하(부인)」에 해당하는 호칭은 Your (His, Her) Lordship(Ladyship), 또 부를 때에는 my lord 를 쓴다.
*영국 귀족 호칭*
리젠시의 귀족들 특히 안주인의 경우 디너 파티를 주최 할 때 10개가 넘는 코스와 꽃 장식 등을 신경 써야 하는 것 외에도 꼭 염두에 둬야 하는 것이 있는데 귀족 계급에서의 서열이라고 한다. 가장 높은 서열의 남자가 가장 높은 서열의 여자를 에스코트해서 디너장으로 가고 서열에 따라 테이블에서도 앉는 자리가 정해져 있는데 만일 실수라도 하는 날에는 그 사회에서 두고 두고 씹히는 가십 거리가 된다고 한다. 아마 그래서 그 시대 귀족의 딸들은 신부 수업을 몇 년간 받았나 보다. 참고로 귀족의 딸들의 호칭은 자신의 이름 또는 성 앞에 Lady 나 Honourable이 붙는다고 합니다.
타이틀 호명 방법
왕 (King) Your Majesty
여왕 (Queen) Your Royal Highness
왕의 아이들 Your Royal Highness
왕의 형제 자매 Your Royal Highness
왕의 조카 Your Highness
왕의 사촌 Your Highness
영국 대주교(Archbishop) Your Grace
공작 (Duke)
Duke (귀족이 부를때)
Your Grace (평민이 부를때)
공작 부인 (Duchess)
Duchess (귀족이 부를때)
Your Grace (평민이 부를때)
후작 (Marquis)
Lord (+ 지역 이름)
(예)Lord Stanton
후작 부인 (Marchioness)
Lady (+ 남편 지역 이름)
(예)Lady Stanton
공작의 첫째 아들 Lord
백작 (Earl, Count) Lord
백작 부인 (Countess) Lady
후작의 첫째 아들 Lord
공작의 첫째 외의 아들 Lord
자작 (Viscount Lord (+ 지역 이름)
자작 부인 (Viscountess) Lady
백작의 첫째 아들 Lord
후작의 첫째 외의 아들 Lord (+이름 또는 성)
영국 교회 주교 (London, Durham & Winchester) My Lord
남작 (Barons) Lord (+성)
남작 부인 (Baroness) Lady (+남편 성)
자작의 첫째 아들 Honourable
백작의 첫째 외의 아들 Honourable
남작의 첫째 아들 Honourable Knights Sir (+이름 또는 성)
자작의 첫째 외의 아들 Honourable
남작의 첫째 외의 아들 Honourable
준남작 (Baronets) Sir (+이름 또는 성)
타이틀 호명 방법
황제(Emperor) 엠프레스Empress
 히즈 임페리얼 매지스티 His Imperial Majesty 폐하(陛下), 황제폐하(皇帝陛下)
 허 임페이얼 매지스티 Her Imperial Majesty
황태자(皇太) 태자, 왕세자 정식 왕위 상속자
 더 크라운 프린스the Crown Prince
왕 (King) Your Majesty 유어 매지스티 보통 폐하로 번역
 (영어니까 영국 국왕을 전하라고 하지 않는다)
여왕 (Queen) Your Majesty 유어 매지스티
왕비(王妃) 퀸 콘서트Queen consort
여왕의 부군, 프린스 콘서트Prince consort
왕자(王) 프린스Prince
왕의 아이들 Your Royal Highness 유어 로열 하이니스
 – 전하(殿下) 왕자와 공주이므로 전하
왕의 형제 자매 Your Royal Highness 유어 로열 하이니스
왕의 조카 Your Highness 유어 하이니스
왕의 사촌 Your Highness 유어 하이니스
섭정왕자 더 프린스 레전트the Prince Regent
프린세스Pincess 공주, 왕녀, 황녀, 왕비, 왕자비, (영국 이외의 공작부인)
더 프린세스 로얄the Princess Royal 제1공주, 왕녀
더 프린세스 레전트the Princess Regent 섭정공주, 섭정비
영국 대주교(Archbishop) Your Grace 유어 그레이스
공작 (Duke)
Duke 듀크(귀족이 부를때)
Your Grace 유어 그레이스(평민이 부를때)
 – 아마도 대감마님이겠지만 그냥 공작님, 공작전하라고 표현
공작 부인 (Duchess) Duchess
더치스(귀족이 부를때)
Your Grace (평민이 부를때)
후작 (Marquis)
Lord (+ 지역 이름)
(예)Lord Stanton 로드 스탠튼
 ― 스탠튼 경, 스탠튼 영주님 보통은 스탠튼 후작님 스탠튼 후작각하
후작 부인 (Marchioness)
Lady (+ 남편 지역 이름)
(예)Lady Stanton 레이디 스탠튼
 ― 스탠튼 부인, 스탠튼 후작부인
공작의 첫째 아들 Lord 로드 경
백작 (Earl, Count) Lord 경, 백작님
백작 부인 (Countess) Lady
후작의 첫째 아들 Lord
공작의 첫째 외의 아들 Lord
자작 (Viscount Lord (+ 지역 이름)
자작 부인 (Viscountess) Lady
백작의 첫째 아들 Lord
후작의 첫째 외의 아들 Lord (+이름 또는 성)
영국 교회 주교 (London, Durham & Winchester) My Lord
남작 (Barons) Lord (+성)
남작 부인 (Baroness) Lady (+남편 성)
자작의 첫째 아들 Honourable 오러블
백작의 첫째 외의 아들 Honourable
남작의 첫째 아들 Honourable
Knights Sir (+이름 또는 성) 나이트 써 칸 칸 기사님, 칸 씨, 칸 경!
자작의 첫째 외의 아들 Honourable
남작의 첫째 외의 아들 Honourable
준남작 (Baronets) Sir (+이름 또는 성)
동양에서 황제는 폐하, 왕은 전하다. 하지만 서양 세계관이 판타지에선 황제와 왕 모두 폐하로 호칭하는 것이 옳을 듯하다. 그리고 대공, 공작은 전하, 후작은 각하 교황, 법왕은 성하다. 추기경의 경우엔 예하, 백작, 자작, 남작은 그냥 백작님, 자작님, 남작님이라고 하면 될 듯하다.
《기타》
향사(鄕士) 스콰이어Squire 시골의 대지주, 기사의 종자
《영》 (knight의 아래·gentleman의 위인) 시골 대지주에 대한 칭호.
2【역사】 기사(騎士)의 종자(從, 에스콰이어esquire)
3 (고관 등의) 종자
예작(禮) 오네리제Honorise
호명시: 온Horn ~
남작 수준의 공이 아닐 시에 주는 작위로서, 완전 명예직이라고 밖에는 할 수 없다. 물론 그것이 귀족으로서의 작위 역할을 하므로, 평민이 귀족이 된다는 의의는 지니고 있음.
작위 조건: 평민으로서 올라온 귀족이 받는 작위.
(영작影) 젠토르Gentor
호명시: 잔Gen ~
작위라고 부르는 이유가 궁금할 정도로 별 소용없는 작위이다. 그 이상의 작위로 올라가기 전에 받는, 일종의 명예작위이다.
작위 조건: 혈통이 노빌로스나 샤트리아 이상인 모든 귀족 자제에게 내려짐. 자작과 마찬가지로, 상속에 의해서만 성립됨.
빌리언 (무작위 귀족 無)
수습기사 페이지page
*Sir 경(), 님, 씨
영국에서는 준 남작 또는 나이트 작의 이름 앞에 사용하고 성(姓)에는 붙이지 않음.
Lord는 주종관계일 경우 자기보다 높은 지위의 사람에게, Sir는 지위 관계없이 서로.
*로드Lord 경()
후작·백작·자작·남작 및 공작·후작의 자식, 백작의 맏아들의 존칭.
*레이디Lady 귀부인, 숙녀
영국에서는 후작·백작·자작·남작 및 준남작. 나이트 작의 부인과 공작·후작·백작의 딸의 경칭으로 이름에 붙여 쓴다.
상급 귀족의 가신 : 종남작, 기사 (칭호 -> Sir)
상급 귀족의 맏아들 : 부모의 작위 계승하고 한 단계 낮은 칭호로 불린다.
둘 째 : 로드Lord
이후 : 오너러블Honorable
▶공작◀
duke [djuːk] n.
① 【영국】 공작(公爵)(여성형(形)은 duchess).
②  (유럽의 공국(duchy) 또는 소국의) 군주, 공(公), 대공.
㉺∼dom [-dom] ―n. 공작령, 공국(duchy); U 공작의 지위[신분].
▶후작◀
marquis [mɑ́ːrkwis] n. (fem. marchioness [mɑ́ːrʃənis])
후작, ┅후(侯); 후작의 장자의 경칭.
㉺marquisate [mɑ́ːrkwizit]―n. U 후작의 신분[지위]; 후작령(領).
marquise [mɑːrkíːz] n. (pl. ∼s [-kíːz(iz)])
【F.】 ① 【영국】 (외국의) 후작 부인[미망인], 여(女)후작.
▶백작◀
count[kaunt] n. (fem. countess [-is])
(영국 이외의) 백작. ★ 영국에서는 earl. 단 earl의 여성은 countess.
㉺∼ship ―n. ∼의 지위[권한].
▶자작◀
viscount [váikàunt] n.
자작(子爵)(영국에서는 백작(earl)의 맏아들에 대한 경칭); 〖역사〗백작의 대리; 〖영국사〗 =SHERIFF.
㉺∼cy, ∼ship [-si], [ʃìp] ―n. 자작의 지위[신분].
㉺∼ess [-is] ―n. 자작 부인, 자작 미망인; 여(女)자작.
㉺∼y ―n. =viscountcy; 〖역사〗 자작 영토.
▶남작◀
baron [bǽrən] n.
① 남작(男爵)(최하위의 귀족). ★성(姓)과 함께 쓸 때 영국인에게는 Lord A, 외국인에게는 Baron A.
② 영국역사〗 (영지를 받은) 귀족.
♣∼ and feme 〖법률〗 부부.
♣paper ∼ 당대로 그치는 남작, 일대 귀족.
㉺∼age [-idʒ] ―n. 「집합적」 남작들, 남작 계급; 남작의 지위[신분]; 남작 명부.
————————————————————————-
그외 좀 자세한 얘기…
귀족들의 호칭은 유럽의 경우 그 가문이 다스리는 지역을 가문의 명칭으로 사용해서 호칭으로 쓰지요
예를 들어 프랑스 백년전쟁에서 나오는 기옌공,부르고뉴공이라 부르는 공작들이 그지역을 다스리는 사람들 입니다
그밖에 그 작위에 소속된 별칭 (전하, 각하, 경 등)을 부른 것이 보편적입니다.
공작은 전하 (Your Grace), 후작~남작은 각하(my lord), 기사는 경(Sir)로 지칭했습니다.
 또한 귀족의 아들들을 존칭할 때는 평귀족(esquire, 혹은 향사라고 번역되기도 함)로 부릅니다.
에스콰이어 (Esquire)는 성+ 이름 다음에 붙이게 됩니다.
예를 들어 윈체스트 후작의 아들 윌리암 상고 라는 사람이 있으면 이사람을 부르는 존칭은 윌리암 상고, 에스콰이어 (평귀족) 입니다.
a.  공작~남작
공작~남작을 직접 호칭하는 경우에는 작위이름 + 공 (Lord) 를 붙이는 것이 보통입니다.
예를 들어 러셀 프랜시스 오를레앙 후작 이라는 사람이 있으면, 이 사람을 직접 호칭할 때는 오를레앙 공 (Lord Orlean)  이라고 부릅니다.   즉 왕이나 친구가 오를레앙 후작을 부를 때는 오를레앙 공 으로 지칭하게 됩니다.
b.  공작부인~남작부인
레이디(Lady) + 작위이름
예를 들어 메리 스튜어트, 한센 백작부인 이라는 사람이 있으면 레이디 한센 이라고 부릅니다.
c.  기사
이름 + 경(Sir)
마스터(Master) + 성
예를 들어 윌리암 페킹튼 이라는 기사가 있으면 이 사람을 부르는 칭호는,
윌리암 경 (Sir William) 혹은 마스터 페킹튼 (Master Peckington)  입니다.
d. 작위귀족의 아들, 딸을 부르는 칭호
공작의 아들, 후작의 아들, 백작의 장남을 부르는 칭호는
이름 + 공 (Lord) 혹은 마스터 + 성(작위가 아닌 가문이름) 입니다.
예를 들어 윈체스터 후작의 아들인 조지 파머 라는 사람은
조지 공 (Lord George), 혹은 마스터 파머 라고 부릅니다.  이 때 작위귀족과 고위귀족의 아들이 공(Lord)의 칭호를 쓸 때 틀린 점은 작위귀족은 작위이름에 공 칭호가 붙고, 자식들은 자신의 이름에 공 칭호가 붙는다는 차이입니다.
백작의 차남 이하의 작위귀족들의 아들들은 단순히 마스터 + 성의 칭호를 씁니다.
예를 들어 랑스 남작의 아들 콜트 윈체스터 라는 사람은 마스터 윈체스터 라고 불립니다.
공작~백작의 딸
레이디(Lady) + 이름 혹은 미스트레스(Mistress, 아가씨 정도의 뜻) + 성
예를 들어 부시 백작의 딸 로라 가젤 은 레이디 로라 혹은 미스트레스 가젤 이라 불립니다.
백작~남작의 딸
미스트레스 + 성 혹은 미스트레스 + 이름
예를 들어 라마 남작의 딸 하나 몽블랑쉬 는 미스트레스 하나 혹은 미스트레스 몽블랑쉬 라고 불립니다.
2.  작위귀족의 아들들에게는 어떤 작위가 수여되는가?
일단 중세유럽의 경우를 보자면 제 아무리 아버지가 공작이라도 장남이 아니면 정식작위가 전해지지 않았습니다.
다만 대륙의 경우에는 백작 이상의 귀족의 차남 이하의 경우 공자 (Prinz)라는 칭호가 주어졌습니다.  이는 영지가 주어지는 직위는 아니고 단순히 명예직으로 서열상으로는 자작과 남작 사이에 위치했습니다.  공자라는 칭호는 계승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공자의 자손들은 단순히 평귀족( ecuyer)로 살게 됩니다.
물론 백작 이상의 대귀족의 경우 남는 작위(대게 대귀족은 작위가 여러 개)가 있다면 차남 이하에게도 자작, 남작 등의 작위가 돌아갈 수도 있었으나, 남는 작위가 없다면 작위귀족의 차남 이하들은 백작 이상은 공자, 자작 이하는 평귀족의 직위만 받습니다.  이 때 평귀족이란 작위귀족의 차남 이하의 아들, 기사의 장남들에게 주어지는 직위를 뜻합니다.  이 평귀족의 직위는 세습이 가능했습니다.  (다만 하급귀족의 직위라고 볼 수 있음)  평귀족은 정식기사보다는 낮고, 젠트리 (작위 없는 대지주, 대륙의 경우에는 이들도 하급귀족으로 취급) 계급 보다는 높았습니다.
근세, 근대유럽에는 보조작위(Subsidiary title) 이라는 게 생겨 장남, 장손에게 주어졌습니다.  보조작위는 백작 이상의 귀족의 장남에게 주어지는 작위인데 공작, 후작의 경우에는 대게 백작, 백작의 장남에게는 남작이 보조작위로 주어졌습니다.  보조작위는 장남이 작위를 물려받기 전에 임시로 쓰는 작위로 영지가 붙지도 않고 세습도 되지 않는 단순한 명예직 이었습니다.
3.  백작이 1 개의 영지만 받는 다는 의미는?
백작이 1개의 영지만을 가질 수 있다는 의미는 1개의 주( County)를 가질 수 있다는 말입니다.  County 는 백작령으로 번역되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유럽의 도에 해당하는 단위였습니다.  즉 백작이 가질 수 있는 1개의 영지란 행정구역을 의미하는 주 라는 개념입니다.  이 주에는 당연히 여러 개의 영지가 존재할 수 있었습니다.  (남작령, 자작령, 기사령 등)
4.이름, 성, 작위의 상관관계는?
대부분의 유럽귀족의 경우 성과 작위는 일치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보통 유럽귀족의 이름은
이름 + 성 (가문이름) + 작위이름
으로 구성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랑스 프란시스 라는 사람이 오크 백작의 직위를 가지고 있으면 이 사람의 정식이름은
랑스 프란시스 오크 백작 이 됩니다.  작위가 여러 개인 경우 보통 가장 높은 작위이름 만을 쓰게 되고 나머지는 공식석상에서 소개받을 때만 나열하게 됩니다.
다만 이 사람의 아들은 가문의 이름을 받는 것이기 때문에 이 사람에게 존 이라는 아들이 있다면 그 아들의 이름은 존 프란시스 가 됩니다.  (존 오크가 아닌…)
공작 > 후작 > 백작 > 자작 > 남작
영국식은 공, 후, 백, 자, 남(작)
프랑스식은 공, 백, 후, 자, 남(작)
귀족의 딸들의 호칭은 자신의 이름 또는 성 앞에 Lady 나 Honourable이 붙는다고 한다.
타이틀 호명 방법
왕 (King) Your Majesty
여왕 (Queen) Your Royal Highness
왕의 아이들 Your Royal Highness
왕의 형제 자매 Your Royal Highness
왕의 조카 Your Highness
왕의 사촌 Your Highness
영국 대주교(Archbishop) Your Grace
공작 (Duke)
Duke (귀족이 부를때)
Your Grace (평민이 부를때)
공작 부인 (Duchess)
Duchess (귀족이 부를때)
Your Grace (평민이 부를때)
후작 (Marquis)
Lord (+ 지역 이름)
(예)Lord Stanton
후작 부인 (Marchioness)
Lady (+ 남편 지역 이름)
(예)Lady Stanton
공작의 첫째 아들 Lord
백작 (Earl, Count) Lord
백작 부인 (Countess) Lady
후작의 첫째 아들 Lord
공작의 첫째 외의 아들 Lord
자작 (Viscount Lord (+ 지역 이름)
자작 부인 (Viscountess) Lady
백작의 첫째 아들 Lord
후작의 첫째 외의 아들 Lord (+이름 또는 성)
영국 교회 주교 (London, Durham & Winchester) My Lord
남작 (Barons) Lord (+성)
남작 부인 (Baroness) Lady (+남편 성)
자작의 첫째 아들 Honourable
백작의 첫째 외의 아들 Honourable
남작의 첫째 아들 Honourable
Knights Sir (+이름 또는 성)
자작의 첫째 외의 아들 Honourable
남작의 첫째 외의 아들 Honourable
준남작 (Baronets) Sir (+이름 또는 성)
황제-황태자-왕-왕세자-왕자-대공-공작-후작-백작-자작-남작-영주-기사단장(grand master)-기사
여기서 대공의 밑으로 재상(prime minister)이 있고 원로대신(senior)이 있는 것이다.
황제는 제국의 왕을 뜻하는것이고, 황태자는 차기 황제를 뜻하며, 왕은 왕국의 왕을 뜻하며
이는 제국에 귀속되는 국가를 뜻하고, 왕세자는 그 왕국의 차기 왕을 뜻한다.
대공은 제국 혹은 왕국에 귀속되는 대공국의 국가로서 거대한 귀족의 영토라고 보는 편이
올바른데 그또한 국가로서도 치부하기도 하며 일반론으로는 한 나라를 가진 공작이라고
부르고 이해하는 것이다.
제국이나 왕국이든 공작의 수는 3명을 넘지 못하며(대부분 황족),
후작은 개국공신(이하 뼈대있는가문)의 귀족이나 권세가 적은 황족들의 칭호로서
한 나라에 7을 넘지못해
(황태자,왕자,공작,후작까지를 예하라고 칭함, 물론 후작의 경우는 왕족후작만을 예하라 칭함)
백작부터는 일반적으로 각하라고 칭한다.
백작은 한국가에 15을 넘지못하며 자작,남작의 수는 그 국가의 크기에 따라 다르다.
황제의 칭호는”황제폐하”이며 왕의 칭호는”폐하”, 황태자와 왕세자, 왕자 ,공주는”전하”라고 칭한다.
독일에서는 폰(von),
(ex-루드비히 폰 게르하르트)
오스트리아나 네덜란드는 판(van),
(ec-루드비히 판 베토벤: 베토벤은 독일사람이라 알려져 있지만,
독일출신이 아니라 판이라는 칭호를 씁니다.)
프랑스에서는 드(de)
(ex-아리쉬 드 귀용)
이탈리아,에스파냐에서는 ‘데’,’디’를 씁니다
이런 칭호를 붙이게 된 연유엔 여러가지 설들이 많습니다.
그렇지만, 그중에서 가장 설득력을 얻는 것은
우럽에서 평민들도 성을 가지게된 이후,
귀족들이 ‘우리는 평민들과는 다르다!’하는 표시로
성과 이름사이에 폰,판,드 같은 칭호를 붙이게 되었다합니다.
이런 칭호는 직급에 따라서 다르게 붙는 경우는 거의 없었고,
(왕이 특별히 하사하는 경우는 있었다고 합니다)
보통 귀족가문에 태어나면 이름과 성씨 사이에
자연적으로 그런 칭호를 붙인것이 풀네임이 되었다 합니다.
von, de 등은 영어로는 from, of 정도의 뜻입니다.
귀족들이 자기 출신 가명(家名)으로 자기를 지칭하는 것인데 루드비히 판 베토벤은 “베토벤 가(家) 출신의 루드비히라는 사람” 정도의 뜻이 되지만 그냥 그사람의 풀 네임으로 쓰이는 겁니다.
가명은 지명(地名)에서 유래된 게 많습니다. 혹은 그 반대로 지명이 가명에서 유래한 것도 있지요. 그것은 기사가 제후로부터, 혹은 제후가 왕으로부터 영지로 받은 봉토(封土)에서 그 지명이 가명이 되거나 가명으로 그 땅 이름을 명명한 겁니다.
가령 프린스 오브 웨일스(Prince OF Wales) 는 웨일스를 봉토로하여 다스리는 제후라는 것입니다. 영국 왕자는 웨일스를 봉토로 하죠(물론 지금은 상징적인 겁니다만). 그리고 여왕의 남편은 에딘버러 공(Duke OF Edinburge)로 봉해졌는데 역시 상징적으로 스코틀랜드의 에딘버러를 봉토로 받은 제후라는 뜻입니다. York 가도 마찬가지고.
출신지명으로 자기 이름 앞에 붙이는 수식어는 동양에도 있습니다. 삼국지에서 장비는 언제나 자기를 연인(燕人) 장비라 부르는데 과거 연(燕)나라 땅 출신이란 소립니다. 조자룡도 언제나 상산 조자룡으로 자기를 호칭하죠. 일본의 검객 미야모토 무사시(宮本武藏)은 미야모도 땅 출신의 무사시란 뜻입니다. 우리나라에도 성 앞에 본관을 붙이죠. 경주 이씨, 전주이씨 하는 것 말입니다.
출판소설은 저귀족: 과거 사회에서 직위의 분류 단위로서, 실제 그들의 역할은 기원전부터 내려오는 지배계층을 일컫는 말이다.
대체적인 작위는 다음과 같다.
영국 이외 영국 내 남성 여성, 부인 남성 여성, 부인
공작 Duke Duchess Prince Princess
(듀크) (두체스) (프린스) (프린세스)
후작 Marquis Marquees
(마퀴스) (마쿠이스, 혹은 마퀘스)
백작 Count Countess Earl
(콘트) (콘테스) (얼)
자작 Viscount Viscountess
(비스콘트) (비스콘테스)
남작 Baron Baroness Lord Lady
(배런) (배러니스) (로드) (레이디)
기사 Knight Dame
(나이트) (데임)
*국가별
영국식 상급 귀족 : 공작, 후작, 백작, 자작, 남작
상급 귀족의 가신 : 종남작, 기사 (칭호 -> Sir)
상급 귀족의 맏아들 : 부모의 작위 계승
둘 째 : (칭호 -> Lord)
이후 : (칭호 -> Honorable-오너러블)
프랑스식 공작, 백작, 자작, 남작, 성주, 배신(가신), 기사
기타 : 매관귀족(판매용)
중세초기 프랑크왕국
상급귀족 : 공작, 궁중백, 변경백, 백작, 남작
하급귀족 : 직속기사, 기사
기타사항 “작위+부인”의 의미 : 1. 남편이 작위를 가지고 있는 경우
2. 자기가 작위를 가지고 있는 경우
“여+작위”
Duchess, Marchioness, Countess
Viscountess, Baroness
기타사항2 “Prince, Pricess” 영국 외의 국가에서 공작, 공작부인으로
칭했음.
봉건 귀족: 기존의 혈통에 의한 귀족이 아닌, 충성을 서약하고 주종의 관계로 봉토를 받아 된 귀족 이후 중앙집권체제가 되면서 유명무실한 존재.
봉건 귀족 체제(제도상)
국왕<-(대제후로 모인 봉신단)
———-
대제후 대제후<-(제후들로 모인 봉신단)
—————
제후(영주) 제후 제후 <- (기사들로 모인 봉신단을 제후는 거느린다.)
기사(최하의 귀족, 실제로는 봉토의 토박이 말단 관리격)
목적: 넓은 영토를 다스리기 위한 방안, 국가 체제를 정비하기 위한 것, 상위 제후가 자신에 게 충성을 서약한 이에게 봉토를 떼어주며 제후로 만든다. 후, 왕의 경우 왕이 소유한 봉토보다 대제후가 소유한 봉토가 더 커버리는 경우도 있었음.
‘봉건’단어는 중국 주에서 사용하는 국가 체제, 비슷한 개념으로는 신라 6부체제, 일본 다이묘 등이 있음.
《황족, 왕족》
emperor His Imperial Majesty(‘폐하’에 해당) 황제, 제왕
(엠퍼러) (히즈 임페리얼 매져스티)
empress Her Imperial Majesty 여제, 여왕, 황후
(엠프레스) (허 임페이얼 매져스티)
king His Majesty (‘전하’에 해당) 왕, 국왕, 군주
queen Her Majesty 여왕, 여자 군주
queen consort (퀸 콘서트-허걱! 콘서트!) 왕비
prince consort (프릲스 콘서트)여왕의 부군
prince 왕자, 태자, 세자, 세군, 작은 나라의 통치자, 왕, 제후, 영주, 군주, 영국 이외의 공작
the Crown Prince, the Prince Imperial, the Prince Royal 황태자
(더 크라운 프린스, 더 프린스 임페리얼, 더 프린스 로얄)
the Crown Prince (영국 이외의) 왕세자
(더 크라운 프린스)
the Grand Prince 태공
(더 그랜드 프린스)
the Prince Regent 섭정왕자
(더 프린스 레전트)
a prince of the blood 왕족, 황족
(어 프린스 오브 더 블러드)
pincess 공주, 왕녀, 황녀, 왕비, 왕자비, (영국 이외의 공작부인)
(프린세스)
the Princess Royal 제1공주, 왕녀
(더 프린세스 로얄)
the Princess Regent 섭정공주, 섭정비
(더 프린세스 레전트)
a princess of the blood 왕녀, 황녀, 공주
(어 프린세스 오브 더 블러드)
《세습귀족》
duke 공작, (공국 또는 소국의) 군주, 공, 대공
a royal duke 왕족의 공작
duchess 공작부인(미망인), 여공작, (공국의) 여공
marquees(영국), marquis(영국 외) 후작, …후
marchioness(영국), marquise(영국 외) 후작 부인(미망인), 여후작
earl(영국), count(영국 외) 백작
countess 백작부인(미망인), 여백작
viscount 자작, 백작의 대리, 백작의 맏아들에 대한 경칭
viscountess 자작부인(미망인), 여자작,
백작의 맏아들의 부인에 대한 경칭
baron 남작 Lord 성 (영국) Baron 성 (영국 외)
baroness 남작부인, 여남작 Lady 성 (영국) Baroness 성 (영국 외)
*Lord 경(후작.백작.자작.남작 및
공작.후작의 자식, 백작의 맏아들의 존칭)
《당대에 한하는 작위》
baronet(배러닛) 준 남작
knight 나이트 작, 훈공 작
dame 준 남작의 부인, 나이트에 상당하는 작위를 받은 여인의 존칭
squire(스콰이어) 시골의 대지주, 기사의 종자
page (페이지) 수습 기사
*Sir 경, 님, 씨(영국에서는 준 남작 또는 나이트 작의 이름 앞에 사용함. 성에는 붙이지 않음.)
‘로드’는 주종관계일 경우 자기보다 높은 지위의 사람에게, ‘서’는 지위 관계없이 서로 ‘서’.
*Lady 레이디, 귀부인, 숙녀(영국에서는 후작. 백작. 자작. 남작 및 준 남작. 나이트 작의 부인과 공작. 후작. 백작의 딸의 경칭으로 성명에 붙여 씀.)
*황녀는 황실의 대부분의 여자(시집 안간)를 가리키는 용어이고, 공주는 왕이나 황제의 딸(양녀 포함)을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같은 나라 안에서 라면 공주가 더 높을 것이다.
*태자와 세자는 동양권의 명칭인데 태자는 독립국이나 중국 황실의 제 1 왕위 계승권자 인 왕자를 나타내는 것이고 세자는 종속국이나 신하국(그 외 그런 류들 전부)등의 제 1 왕위 계승자를 나타낸 것입니다. 그 예로 삼국과 고려는 태자를 썼고 조선은 세자를 썼죠.
*왕의 딸은 정확히는 두 가지 칭호를 받는다. 공주와 군주.
공주는 친왕의 딸, 혹은 황제의 정실 자식을 부르는 이름입니다. (번역에 따라 다르지만) Princess의 경우, 이게 황제의 정실 자식으로 어딘가에 자신의 봉토를 가지고 있으면 그건 ‘친왕’으로 번역할 수도 있습니다.
*군주는 군왕의 딸(황제와 이성제후인 왕 작을 가진 가문)인 경우를 부르는 것과 황제의 측실 자식인 딸을 부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왕녀는 공주와 군주를 포함하지만, 대개 왕녀로 번역되는 경우는 공식적인 작위(Princess)를 받지 못하거나 비나 빈(정식 왕비들)의 자식이 아닌 인정받지 못한 왕의 소생의 딸을 부를 경우가 더 많습니다.
*권력과 지위에 대한 부연 설명
일단 귀족 중에서 가장 높은 지위는 당연 공작입니다. 위의 설명에도 있듯이 공작은 대개 왕족, 즉 왕이 되지 못한 왕자들에게 주어지는 지위였을 겁니다.
우리나라의 조선시대의 경우에도 왕자들은 정 1 품으로 명시되는 ‘군’이란 호칭이 주어졌죠. (물론, 엄청난 공을 세운 관리에게도 주어졌다는데 그것 까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은 후작. 후작은 제후에 해당하는 데요. 제후란 독일의 ‘7선 제후(아마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를 이들이 선출했을 겁니다.)’와 비슷할 겁니다. (이 제후에 대한 개념이 제게는 와닿지 않아서…)
제가 생각하는 후작을 의미하는 제후는 왕에게 귀속되지 않는 영지를 소유하고 있고, 그곳에서 만큼은 왕보다 더한 권력자, 혹은 그 지방의 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면 공국, 후국, 백국 등의 제후국이니 대공, 후왕(혹은 대후), 백왕(대백작)이라 불리는 것 아니냐?! 라고 물으시면 할 말 없습니다. 어디까지나 제 개인적인 추측입니다. 이것은(후작에 대한 것만큼은 자신이 없습니다).
여기까지가 ‘권력’보다는 ‘명예’에 해당하는 지위라고 생각하는데요. 즉, 후작 이상의 지위에 있는 귀족들은 왕의 권력을 ‘견제’할 수 있는 거라고 생각됩니다. 공작은 왕족이고, 후작은 제후니까.
아무래도 이 이하의 지위에서는 그것을 생각하기 어렵겠죠.
그리고 실제로 ‘권력’이 ‘행정’의 단계로 들어갔을 경우, 백작이 가장 높은 지위입니다. 공작=왕자, 후작=제후란 공식을 보았을 때, 실제 귀족이란 입지에서 가장 높은 지위는 백작이 될겁니다. 즉, 백작은 절대 만만하거나, 개나 소나 다 되는 지위가 아니라는 말입니다.
자작은 위의 설명에도 있듯이 백작의 대리인, 혹은 백작의 아들에 대한 명칭으로 일종의 ‘명예’귀족인 듯 합니다. (공작, 후작의 ‘명예’와는 미묘하게 다른 ‘명예’입니다만. 즉, 형식적이란 말이죠. ‘명예박사”라는 것과 같은 표현 입니다.)
이것은 로맨스 소설에서 얻은 지식입니다만,(대부분의 로맨스 소설은 작가가 외국인이죠. 때문에 중제나 귀족사회가 배경이라면, 훌륭한 참고가 됩니다. 어쨌거나, 중세는 그들의 역사이니, 우리보다 더 잘 알겠죠.)
영국의 백작과 스코틀랜드의 백작 중에서 후자쪽이 더 높았답니다. 때문에 스콜틀랜드 여백작인 여주인공과 영국 백작인 남주인공이 결혼을 하는 내용이었는데, 영국왕은 남자에게 ‘공작’의 작위를 내립니다.(남편이 부인보다 지위가 낮아서는 안 된다는 이유로. 물론, 그만한 공적도 있었고요. 그냥 준 게 아니었어요. 남자 주인공이 여주인공의 영지를 때려 엎었습니다.) 그래서 여자와 남자의 지위가 동등해 졌죠.
남작은… 아마도 귀족 중에서 가장 자유로운 위치에 있었던 귀족인 모양입니다. 그 단어 자체가 ‘자유로운 사람’이라는 뜻을 갖고 있으니까요.
일반 판타지에서 남작은 주로 몰락 귀족인 것처럼 그려지는데, 절!대! 그렇지만은 않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귀족중 가장 늦은 지위이니, 권력의 핵심으로부터는 상당히 멀어졌겠지만, 그들은 말그대로 자유인이고, 영지를 관리하고, 상업에 손을 대는 등의 실질적인 면으로 움직인 귀족들입니다.
‘권력’이 아니라 ‘돈’을 본다면, 이들이 더 풍족하게 살았을 가능성도 있다고 조심스럽게 추축을 해봅니다.
황제와 왕. 이건 역사 속에서 우리나라와 중국의 관계를 보녀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황제는 아무나 갖다 붙인다고 황제가 아닙니다. 즉, 한 대륙에서 모든 국가가 ‘제국’일 수 없다는 말입니다. 그 대륙에서 가장 센 나라가 ‘제국’이란 국명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고, 또 그 ‘제국’의 장만이 ‘황제’란 호칭을 사용할 수 있는 겁니다.
황녀, 왕녀, 공주, 군주, 공녀 들의 지위는 위의 설명이 있지만 조금 보충하겠습니다. 왕녀와 황녀는 아버지가 황제냐 왕이냐의 차이에 따라 구분 되는 것이니 그 신분의 고하는 황녀 쪽이 높을 겁니다.
그리고 공주와 군주 외에는 ‘지위’가 아니가 ‘신분(출신)’을 말하는 겁니다. 즉, 공주가 저들 중에서 가장 지위가 높습니다. 권력도 있고요.
군주(주군을 위미하는 한자의 군주가 아닙니다.)는 우리 나라의 경우, 세자빈의 딸, 즉 세자의 정실 부인에게서 난 딸의 호칭이었답니다.(국어 사전 참고)
황비와 왕비는 황녀와 왕녀의 차이와 같고… ‘후’와 ‘비’는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후’는 제후를 말하는 것인데요. 왕(황제)의 부인이 왕후(황후)라고 불린다면, 왕후는 정치에 개입할 수 있는 ‘권력과 권한’을 가졌다는 의미가 됩니다. 왕비(황비)는 단순히 왕(황제)의 부인, 그 이상의 권한과 지위는 없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왕후라 불리는 국가가 여성의 지위가 더 높다는 의미가 될 겁니다.
3)지방과 수도의 차이…?
지방에서의 지위, 영주들의 지위를 수도의 귀족들 지위에 대비시킬 수 있나요?
글쎄요? 이 질문은 뭐라고 말하기에 애매모호하군요.
지방 영주는 자신의 영지 내에서는 왕이상의 권한을 갖고 있습니다. 또한, 절대 왕이라고 해도 그 영지의 일에는 관여해서는 안 되는 것이죠.
그리고 중세의 관점(현실적 측면에서. 판타지가 아니라)에서 왕은 그리 별볼일 없는 존재였습니다. 일종의 맹주와 비슷한 위치였을 겁니다. 오히려 지방 영주들의 눈치를 봐야 했겠죠.
왜냐하면 전쟁이 콰광- 하고 터지면 왕을 위해 싸워주는 이들이 지방 영주들이죠. 그리고 지지리도 못난 왕이 포로로 끌려가면 지방 영주들이 왕의 몸값을 지불해서 그를 데려와야 했습니다. 그러니 눈치를 봐야 하지 않았을까요?
게다가 ‘너 맘에 안 들어! 너랑 내 사이는 끝났어!’라고 선언하고, 주종 관계를 끊고 다른 왕에게 갈 수도 있으니까.
그리고 지방의 영주가 수도의 귀족에 비해 왕에게 갖는 권리와 의무가 더 많았을 거라고 생각됩니다. 왜냐면 영지에 대한 세금도 내야하고, 전쟁 나면 재빨리 전쟁터로 가야할 테니.
그리고 일반적으로 지방과 수도의 귀족을 구분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영지의 관리나 운영은 대리인 혹은 형제들에게 맡기고 자신은 중앙의 권력에 투신할 수도 있는 거죠.
중세의 귀족에게 있어서 장남 이외의 아들들은 그런 용도(좀 삭막한 표현입니다만)였습니다. 아버지의 작위를 세습받을 수 있는 권리는 장남에게만 있고, 보통 차남은 성직자, 혹은 법관(아니면 성직자와 법관 겸직)가 되고, 그 이하의 아들은 상인이 되거나, 차남과 같은 길을 걷거나, 작위를 세습한 맏형의 보좌 정도의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즉, 차남 이하의 아들들은 그 가문의 기초를 튼튼히 하기위한 도구였던 것입니다.
왜냐하면 중세로부터 이어져 내려온 귀족들, 즉 혈통으로 이어져 내려온 정말 유서깊고 명예로운 귀족들의 그 시발이 몽땅 ‘기사’였습니다. 때문에 가문의 장남은 반드시 ‘기사여야’ 했습니다.
매매용 귀족도 있었는데, 이는 평민이 귀족 작위를 사서 귀족이 되느 것을 말합니다. 역시 일반 판타지에서 귀족 작위 사서 귀족행세하는 것이 ‘돈만 있으면 장땡’인 것처럼 그리는데, 절!대! 아닙니다.
평민이 귀족 작위를 샀을 경우, 왕으로부터 정식 귀족으로, 즉 봉토를 가진 귀족으로 인정 받으려면 최소한 40년(!)을 세금을 줄기차게 바쳐야 합니다. 그것도 조금내면 그 기간이 길어질 테니 많이 내야 겠죠.
그러면 봉토를 받고 드디어 이름과 성 뒤에 ‘드(혹은 ,데, 폰-모두 !로 부터, ~의, ~에서 나온이란 뜻입니다.)’등의 조사와 함께 봉토의 지방이름을 붙일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이름) %%%(성) 드(데, 폰) &&&(영지이름)이 되는 것이죠.
자아~ 이제부터 당당한 귀족이 되었는데, 귀족이 혼자 놀지는 않겠죠? 다른 귀족들에게 인정을 받고, 가뜩이나 매관귀족(돈 주고 산 족)인데 앞으로 때빼고 광내서 진짜 귀족을 만들어야 합니다.
아마 이 단계까지는 약 3세대가 흘러야 할 겁니다(중세인들의 평균 수명을 불 때, 그렇지 않더라도 마찬가지겠지만). 즉, 돈 주고 산 귀족이 정말로 귀족 행세를 하려면 적어도 조부때부터 귀족이었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Leave a Comment